ADVERTISEMENT

원청-하청 노조 교섭 의무, 실질 지배·결정권 사용자에 한정된다…노란봉투법 본회의 통과 전망

2025-07-29
원청-하청 노조 교섭 의무, 실질 지배·결정권 사용자에 한정된다…노란봉투법 본회의 통과 전망
한겨레
원청-하청 노조 교섭, 어디까지 의무일까?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원청과 하청 노조 간의 교섭 의무 범위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법안의 핵심은 하청 노조에 대한 원청의 단체교섭 의무 부과이지만, 실제 적용 범위는 ‘실질적인 지배·결정권’을 가진 사용자에게만 국한될 예정입니다. 노란봉투법, 왜 나왔나? 노란봉투법은 파업 시 조합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한하고, 원청의 하청 근로자에 대한 단체교섭 의무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하청 근로자의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과 고용 불안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원청의 영향력 하에 있는 하청 근로자들의 권익 보호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교섭 범위는 어떻게 되나? 법안 통과 후에도 원청과 하청 노조 간의 교섭 범위는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았습니다. 원청이 하청 근로자들의 임금, 근로시간, 휴가 등 기본적인 근로 조건에 대해 교섭 의무를 갖게 되지만, 이는 원청이 하청 사업장에 대해 실질적인 지배·결정권을 행사하는 경우에 한정됩니다. 즉, 원청이 하청 사업장의 운영에 깊숙이 관여하고,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경우에만 교섭 의무가 발생합니다.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다 일각에서는 노란봉투법이 원청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하청 사업장의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질적인 지배·결정권’의 기준이 모호하여 법 적용에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따라서 법 시행에 앞서 구체적인 시행 방침과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본회의 통과와 함께 논의 심화 노란봉투법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이어 다음 달 초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될 예정입니다. 법안 통과 후에는 원·하청 교섭 구조, 실질적인 지배·결정권의 범위 등 구체적인 시행 방침을 놓고 사회적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법 시행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법안 개정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ADVERTISEMENT
추천
추천